<공감/구독은 차트의신 채널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차트의 신입니다. 오랜만입니다.
제가 바쁜 일이 있었기 때문에 게시글 작성이 지연되었습니다. 기다려주신 개척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인사 드립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인 차트 분석 시작해볼까요?
현재 환율이 1406원으로 1400원을 돌파해준 모습입니다. 달러의 강세는 쉽게 꺾일 것 같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지금까지의 환율 상승과 지속되었던 하락장으로 인한 기술적인 반등장은 무조건 올 것이며 세력들은 매집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셔야 합니다.
9월 23일 코스닥 /코스피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감* 코스닥지수: 751.41(-0.46%) 코스피지수: 2332.31(-0.63%)
<목차>
1. 코스닥
1) 코스닥 지수 분석 (1시간봉)
2) 코스닥 지수 분석(4시간봉)
3) 코스닥 지수 분석 (요일봉상)
2.코스피
1) 코스피 지수 분석(1시간봉)
2) 코스피 지수 분석 (4시간봉)
3) 코스피 지수 분석 (요일봉상)
3. 오늘 코스닥/ 코스피 지수 분석 마무리글
1) 위험한 자리
2) 지켜줘야 하는 자리
1. 코스닥
1) 코스닥 지수 분석 (1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9월 20일 코스닥 차트 분석 1시간봉코스닥 1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긴 바닥구간이었으며 차트상에서는 지지선을 이탈하고 방향을 잃은 모습이었습니다.
그렇다면 9월 22일 마감된 코스닥 차트 1시간봉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닥 차트분석 1시간봉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저점에서 단기고점으로 이동한 모습이며, 차트상으로 보게 되면 저항추세선의 저항을 맞고 뚫지 못하고 이동하는 모습입니다.
코스닥에서 가장 중요하게 뚫어줘야 하는 구간은 755지수로 보여집니다. 이 구간은 저항추세선이 맞닿아 있는 돌파구간입니다.
또한 2차지지선을 지지해줘야 합니다. 그렇다면 코스닥 차트분석 4시간봉은 어떨까요?
2) 코스닥 지수 분석 (4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닥 4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쌍바닥을 만든 모습이며 차트상으로 보게 되었을 때 1차 지지선을 이탈하고 2차 지지선 이탈 후 다시 회복해주면서 장 마감한 모습입니다.
현재 1번과 2번 구간을 그림으로 방향 시나리오를 그려놓았습니다. 2차 지지선을 이탈하게 될 경우 2번 자리인 715지수로 갈 것이며 저항추세선을 돌파해줄 경우 1번 자리의 흐름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코스닥 요일봉상 차트는 어떨까요?
3) 코스닥 지수 분석 (요일분봉)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닥 요일봉상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저점 구간이며 차트상으로 보게 될 경우 1차 지지선을 이탈하고 저항추세선에 닿지 못하고 이동하는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상승의 힘을 받기 위해서는 저항추세선을 닿아주는 모습이 나와야 합니다.
지지대: 1차 지지대는 747지수이며 이 구간은 강력한 지지대로 작용합니다. 이전의 7월달 차트를 보게 되더라도 지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자리입니다. 또한 2차 지지대는 그 밑 구간인 715지수입니다. 만약 1차 지지대가 뚫린다면 2차 지지대로 갈 가능성이 큽니다. (2번 지지실패이므로 실망 매물이 나오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항대: 저항대 구간은 755지수로 강력한 저항 추세선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윗 저항대는 768지수이므로 755지수를 돌파한 뒤 768지수에 닿고 횡보하면서 방향을 정할 가능성이 큽니다. 768지수를 뚫어주게 될 경우 그 위는 무척이나 가벼운 구간으로 저항 추세선 돌파여부가 중요하게 작용 할 것입니다.
이평선:
현재 5이평선이 758지수에 있기 때문에 회복하는 모습이 중요하며 이 구간은 저항추세선 구간과 어느정도 밀접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안착하고 힘을 모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거래량의 매수세에 근거해서 힘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준선이 790지수에 있기 때문에 768지수를 뚫게 되면 횡보하는 자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 위로는 112이평선과 224이평선이 800~900지수에 있으므로 먼저 기준선까지 닿게 된다면 상승장으로 추세전환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것입니다.
돌파구간: 코스닥의 돌파구간은 770지수로 생각하면 편할 것입니다. 돌파구간을 돌파하게 될 경우 강력한 매수세의 차트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2. 코스피
1) 코스피 지수 분석 (1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9월 20일 코스피 차트 분석 1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저점에 위치해 있으며 차트상으로 보게 될 경우 지지선을 이탈하고 나서 방향을 잃고 움직여 주는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9월 22일 장 마감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피 차트 분석 1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저점이었던 구간은 한순간에 단기 고점으로 갔으며 차트상으로 보게 되면 보조지표는 올라갔는데 가격이 내려갔다는 점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상승의 힘이 더 강한 것을 의미하며 아래로 누르고 있으나 쉽게 빠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코스피 4시간 차트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2) 코스피 지수 분석 (4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피 4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바닥권에 있으며 차트상으로 보게 되면 계속 아래로 흘러내린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스피 1시간봉 차트를 분석할 때 보조지표상 단기 고점이며 상승 다이버전스를 만들어내는 그림으로 4시간봉을 보게 되면 단기바닥 구간이기 때문에 상승의 힘을 받을 가능성이 더 커보입니다.
그렇다면 더 큰 차트인 코스피 요일봉상 차트는 어떨까요?
3) 코스피 지수 분석 (요일분봉)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피 요일봉상 차트입니다. 현재 1시간봉과 4시간봉을 분석해봤습니다. 올라가는 힘이 더 강해보이는 차트였으며 코스피 요일봉상 보조지표를 보게 될 경우에도 단기 저점의 위치에 있으므로 매수세만 받게 된다면 충분히 좋은 흐름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일봉상으로 보게 되면 더 큰 차트를 볼 수 있으며 현재 지지선을 이탈하고 2번 지지선으로 가는듯하다가 마지막엔 양봉 차트로 마감해준 모습입니다. 그렇다는것은 1번 차트의 흐름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지지대: 1차 지지대는 지지 추세선 구간인 2275구간이며 이는 2차 지지선과 밀접해 있습니다. 이구간이 뚫려버린다면 빅쇼트가 나올 가능성이 크며 깨지면 안 되는 정말 중요한 구간입니다.
저항대: 1차 저항대는 2381지수로 보여지며 이 구간은 저항추세선과 밀접해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저항대로 작용합니다. 또한 2차 저항대는 2450지수로 1차 저항대를 뚫게 되면 이 구간을 터치할 수 있습니다. 현재 단기 저점 구간이지만 단기 고점 구간이 다다른다면 아마 2차 저항대에 닿고 횡보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이평선: 5이평선은 2356지수에 있으며 먼저 이 구간의 안착이 무척이나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 구간은 얼추 보면 저항추세선의 돌파자리와도 비슷한 구간이며 지지선을 이탈한 구간이랑도 밀접한 구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자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이평선의 안착 여부가 확인된다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기준선이 2430지수에 있기 때문에 이는 2차 저항대 구간과도 밀접한 구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적인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핵심 구간을 체크하시고 매매하시길 바랍니다.
돌파구간: 2367지수가 단기 돌파지수입니다.
3. 오늘 코스닥/코스피 지수 분석 마무리 하면서.
1) 코스피 / 코스닥 분석을 토대로 주관적인 생각
단기 상승이 일어날 수 있는 구간이지만 핵심 구간을 지켜줘야 하며, 무척이나 애매한 구간이기 때문에 정말 투자하셔야 하는 개척자분들이 계신다면 분할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분할적인 투자 내용에 대해서 추후에 게시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적고 있는 동안 나스닥은 1.45%로 하락중인 모습입니다. 코스닥 1차 지지구간의 지지 여부에 따라 추세가 전환되기 때문에 1차 지지구간을 지지해준다면 좋은 흐름으로 움직여줄 수 있습니다. 만약 지지구간이 깨진다면 상승은 하겠지만 상승을 하기 위한 시간이 좀 걸릴 것입니다.
2) 단기적인 관점 (1일~ 3개월 미만)
중요한 구간 지지하고 저항추세선 돌파하게 될 경우 추세 전환의 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핵심 구간 잘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3) 중기적인 관점 (3개월 ~ 6개월 )
저점입니다.
4) 장기적인 관점 (6개월 이상)
저점입니다.
오늘도 차트의신 블로그에 방문해주신 개척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방문해주세요.
<공감/구독은 차트의신 채널에 큰 힘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