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구독은 차트의신 채널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차트의 신입니다. 현재 주식장이 무척이나 안 좋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환율입니다.
환율 달러의 상승은 국내 주식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달러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면 원화의 가치는 낮아지게 됩니다.
현재 환율이 1430원이라는 점에서 예전에 비해 15~20% 이상 올랐기 때문에 원화의 가치가 그만큼 낮아진 것을 의미하며 환율이 올라감에 따라 금리 인상이 일어나 대출이 막혀 매수의 수급이 부족한 모습입니다. (주식장에서는 악재로 작용해서 내려가는 요인)
Q. 이런 시장에서는 누가 매집을 할까요?
답변: 네 맞습니다. 세력의 매집이 이루어지는 구간입니다. 큰 흐름으로 이해하셔야 세력을 이길 수 있습니다.
9월 30일과 그 이후의 코스닥 /코스피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행중 오전 11:06* 코스닥지수: 673.76(-1.31%) 코스피지수: 2166.77 (-0.19%)
<목차>
1. 코스닥
1) 코스닥 지수 분석 (1시간봉)
2) 코스닥 지수 분석(4시간봉)
3) 코스닥 지수 분석 (요일봉상)
2.코스피
1) 코스피 지수 분석(1시간봉)
2) 코스피 지수 분석 (4시간봉)
3) 코스피 지수 분석 (요일봉상)
3. 오늘 코스닥/ 코스피 지수 분석 마무리글
1) 위험한 자리
2) 지켜줘야 하는 자리
1. 코스닥
1) 코스닥 지수 분석 (1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닥 1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고점을 찍고 고개가 꺾인 모습이며 차트상에서는 추세 저항대 돌파 실패를 하고 실망매물이 나오면서 크게 하락한 모습입니다.
지지선인 715지수도 뚫고 내려가는 강한 매도세가 동반되었고 현재는 하락하면서 내려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20이평선(보라색선)에 닿자마자 회복하지 못하고 이탈해주는 모습입니다.
추세가 전환되기 위해서는 20이평선의 지지가 중요하며 20이평선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승 추세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코스닥 4시간 차트분석은 어떨까요?
2) 코스닥 지수 분석 (4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닥 4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올라가는 중이며 차트상으로는 크게 빠진 모습입니다. 그 이전에 6월~7월 코스닥 차트를 보게 되면 단기 상승 확장형 패턴을 만들었는데 현재는 큰 폭의 상승 확장형 패턴을 만들고 있습니다.
아래의 지지선이 없다는 점에서 2번자리로 빠지게 되더라도 다시 회복하려는 힘이 강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흐름은 1번 패턴으로 가는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보라색선인 20이평선의 회복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더 큰 차트인 코스닥 요일봉상은 어떨까요?
3) 코스닥 지수 분석 (요일분봉)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닥 요일봉상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바닥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차트상으로는 저항 추세선을 닿자마자 크게 빠져주는 모습입니다.
단기 바닥을 다지더라도 여러번 다지는 흐름이 중요합니다. 현재 차트를 보게되면 6월~7월달 보여줬던 상승 확장형 패턴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회복한다면 큰 폭의 상승이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지금 +(십자가형) 차트를 만들어내고 있으므로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지지대: 1차 지지대는 660지수입니다. 이 구간이 뚫리게 되면 큰 폭의 하락이 있을수 있습니다.
저항대: 1차 저항대는 715지수이며, 2차 저항대는 750지수가 됩니다. 지지대가 저항대로 바꼈습니다.
이평선: 현재 5이평선이 685지수에 있으므로 안착하는 모습이 나와야 하며, 안착하게 되면 20이평선을 회복하고 힘을 모아서 돌파해주는 모습이 나와야 합니다.
돌파구간: 715지수 돌파구간이 무척이나 중요합니다. 단기 반등이 지금구간에서 부터 일어나면 단타 구간이 주어집니다. 돌파 구간 근처로 가게 되면 저항을 맞고 살짝 떨어질 수 있으니 단타 위주 매매하시는 투자자분들이라면 비중조절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큰 흐름인 코스닥 월봉 차트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닥권을 크게는 지금 구간에서부터 550까지는 여시면서 분할매수 관점으로 접근하시는게 중요합니다.
내려간다고 해서 무조건 안 좋은것은 아닙니다. 소개글에서 지금 구간에서 누가 매집한다고 했죠? 세력입니다.
2020년 차트를 보시게 되면 코로나 패닉셀로 인한 급락이 일어났으나 아래서부터 끌어올리는 힘을 만들어내면서 회복하는 그림을 만들어냈습니다. 지금 구간을 C점이라고 가정하고 러닝플랫으로 보게 된다면
지금구간이 바닥 구간에 임박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러닝플랫 패턴은 A점의 저점을 깨지 않고 그 이상을 유지시켜 줘야 하는데 유지해준다면 러닝플랫의 관점이 맞게 됩니다.
그렇다면 C점을 깬다면 어떤 흐름이 만들어질까요?
아래 목차에 있는 주관적인 생각에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코스피
1) 코스피 지수 분석 (1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피 1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단기 고점을 찍고 살짝 내려온 모습입니다. 차트상으로 보게 되면 상승 확장형 패턴이 생겼습니다.
20이평선 회복 실패하면서 빠진 모습입니다만 이중 바닥을 만들어낸 모습입니다. 지금 구간에서 크게 빠지지 않고 올려준다면 단기 반등 자리가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2) 코스피 지수 분석 (4시간)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피 4시간봉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올라가는 모습이 보이며 차트상으로 보게 되면 내려가면서 망치형 캔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망치형 캔들은 사진에서의 설명과 비슷하게 매수세가 강하기 때문에 단기 반등이 일어날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즉, 위에 보라색선인 20이평선을 회복하면서 망치형 캔들이 같이 나오게 된다면 무척이나 좋은 흐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현재 20이평선이 조금 멀리 있다는 점에서 추후 흐름을 좀 더 지켜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3) 코스피 지수 분석 (요일분봉)
현재 보이시는 사진은 코스피 요일봉상 차트입니다. 보조지표상 바닥권에 있으며 차트상으로는 상승 확장형 패턴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사실 조금 더 큰 흐름으로 보게 된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보라색 선을 그어 더 큰 상승 확장형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만 이 관점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2100지수를 깨지 않아야 합니다.
지지대: 1차 지지대는 2100지수이며 1차 지지대가 깨지게 되면 큰 폭의 하락이 있을수 있습니다.
지지대를 조금 더 자세히 보기 위해 코스피 차트 분석(월봉상)차트를 가지고 왔습니다. 현재 ABC의 조정파가 만들어진 모습입니다.
이는 매우 큰 폭의 하락을 뜻하는 기울기를 가진 차트로 차트를 그렸으며 최대 바닥권은 1960지수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전 코로나 팬데믹에서는 큰 폭의 하락을 하면서 빠르게 회복해주는 그림이 나왔기 때문에 만약 최대 바닥권까지 떨어지더라도 단기 회복이 가능합니다.
사진상에서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차트를 좀 더 보기 쉽게 만들어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은 고점구간과 저점 구간을 이어서 핵심 구간인 38.2% / 61.8%로 나뉘어 지는데 반등이 일어나게 될 경우 저 구간까지 되돌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0%도 중요하지만 2가지 구간을 핵심구간으로 생각함.) 즉 내려가더라도 회복이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시간이 약이다..
저항대: 1차 저항대는 2200지수이며 그 위로는 2275, 2380지수가 존재합니다.
이평선: 5이평선은 2189지수에 있기 때문에 빨리 회복하는 그림이 필요합니다. 또한 20이평선의 회복도 중요합니다. 20이평선을 회복하면서 이동할 경우 단기 반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돌파구간: 2275가 돌파구간입니다.
3. 오늘 코스닥/코스피 지수 분석 마무리 하면서.
1) 코스피 / 코스닥 분석을 토대로 주관적인 생각
먼저 코스닥 요일봉상에서 설명했던 C점이 깨진다면 Expaned Flat이 됩니다.
익스펜디드 플랫은 C점이 A점보다 아래에 있으며 C점 다음의 파동이 B 지점을 돌파하는 모습이 나오게 됩니다.
아까 설명했던 러닝플랫과 다른 모습입니다. 즉, 차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관점들을 잘 생각해서 분석해야 합니다.
오늘 공부 했던 핵심 구간들을 잘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최대 바닥 구간을 피보나치 되돌림과 추세선으로 분석해봤습니다만 최대 바닥구간까지 올 가능성이 낮긴 하지만 오게 된다면 그 구간에서는 추가매수나 매수 하시면 좋은 기회가 되실겁니다.
장기적으로는 회복해서 좋은 장이 기다릴 것입니다.
2) 단기적인 관점 (1일~ 3개월 미만)
눌릴 가능성이 있다. 지금 구간이 바닥구간이라면 위에 설명한 러닝 플랫의 가능성이 있다.
3) 중기적인 관점 (3개월 ~ 6개월 )
저점이다.
4) 장기적인 관점 (6개월 이상)
저점이다.
오늘도 차트의신 블로그에 방문해주신 개척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방문해주세요.
<공감/구독은 차트의신 채널에 큰 힘이 됩니다.>
*위 정보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차트의신 채널에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조금 더 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주는 채널입니다.
댓글